사진을 일부 영역만 자연스럽게 지우기 (인공지능 지우개, 생성형 채우기, AI 지우개)

마음에 드는 사진이 있지만, 작게 인물이 나왔거나, 옥의티 같은 현수막 이미지가 있는 경우가 있지요?


AI 지우개를 이용해 지우고 싶은 부분을 지우고 그 자리를 자연스레 채울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간단한 배경이나 특정한 패턴이 존재하는 이미지의 경우, 일반 지우개로도 충분히 지우실 수 있습니다.


(AI 일반 지우개를 사용해 특정 개체를 지운 결과물)








심플하거나 규칙적인 배경이 아닌 경우에는 AI 고급 지우개를 사용해 특정 개체를 지우고, 지운 자리를 자연스레 채울 수 있습니다.


바로 아래 이미지처럼 뒷 배경에 건물이 있거나, 구조물이 있을 때 유용합니다.


(AI 고급 지우개를 사용해 특정 개체를 지운 결과물)





이렇듯 원본의 스타일, 구조를 반영하며 사용자가 지운 자리를 자동으로 다시 채워주는 ai 지우개 기능으로


기존의 포토샵 등으로 합성하고 기존 이미지와 색감 및 스타일을 맞추고 도장툴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작업들이 단축됩니다.


다만, 생성형 AI 특성상 언제나 100% 완벽하게 의도한대로 결과물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1. 전경& 배경의 구분이 확실치 않거나 지울 개체와 뒷 배경이 평면적이고 동일한 거리에 있을 경우


(왼쪽: 원본/ 오른쪽: 고급지우개 실행 - 배경과 거의 붙어있을 경우 품질의 저하가 발생합니다.)





2. 지울 개체의 여백을 충분히 칠하지 않고 딱 맞게 칠한 경우


사진 속 정보를 전체적으로 인식한 후, 사용자가 개체를 지운 자리를 다시 생성합니다.


이때 지울 영역을 마스킹할 때 여백이 부족해 잔상이 남은 경우, 해당 잔상을 토대로 임의로 개체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때는 뒤로가기를 눌러 (단축키 Ctrl + Z) 영역을 다시 칠해주거나, 필요없는 임의의 개체만 칠한 뒤 다시 지우개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왼쪽: 원본/ 오른쪽: 고급 지우개 실행 - 여성 실루엣의 잔재가 남을 경우 이와 관련된 결과물을 채워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충분히 여백을 주어 마스킹 할 경우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간혹 사진의 메인 개체를 지웠을 때, 해당 메인 개체가


여전히 지운 영역에 영향을 줄 때도 있습니다. 이는 사진의 정보를 바탕으로 선택한 영역을 채우는 AI 모델의 특성으로 보입니다.


(왼쪽: 원본/ 오른쪽: 지울 영역 선택 시 여백을 충분히 칠한 결과물)





3. 민무늬 배경일 경우 자국이 남을 수 있습니다.


오히려 배경이 단순할 경우에는 고급지우개가 아닌 일반 지우개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이미 고급지우개를 사용해 지웠는데 자국이 남은 경우, 해당 자국을 다시 칠하여 일반 지우개로 지우시면 됩니다.


(단순한 배경에서는 드래그로 칠하기를 이용하면 지울 개체를 빠르게 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경이 단순하다면 처음부터 일반 지우개를, 복잡하다면 고급 지우개를 이용하는 게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순서대로 원본 / 일반 지우개 / 고급 지우개)